안녕하세요. MarkJacob입니다.
얼마 전에 제 직장인 여의도에서 점심식사 후 산책을 하다 보니 이제 벚꽃나무들이 다음 주면 만개를 할 준비를 하고 있더군요. 같이 산책을 하던 동료 임원분에게 '벚꽃이 일본 꽃 사쿠라 맞죠?'라고 여쭤보니 '뭔 소리야. 그건 한국이 왕벚나무야'라고 답하시더군요. 그럼 누구 말이 맞을까요?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시작하시기 전에 여의도 봄꽃축제 영상 하나 보고 가시죠!
https://youtu.be/3iHbzhUEtY4?si=EuzyoTxlB6Mh3Ggp
벚꽃의 원산지, 과연 어디일까요? 🌸
(학계와 문화 속 논쟁을 중심으로)
매년 봄, 벚꽃이 만개할 무렵이면 어김없이 "벚꽃의 원산지"에 대한 논의가 언론과 SNS를 중심으로 다시 떠오릅니다. 과연 벚꽃, 특히 우리가 흔히 보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는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일본일까요, 한국일까요? 혹은 중국까지 범위를 넓혀야 할까요? 🤔
벚꽃은 하나의 품종이 아닙니다 🌿
우선 '벚꽃'이라는 단어는 단일 품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벚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수십 종이 넘는 품종이 존재하며, 그중 관상용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일본의 소메이요시노(染井吉野, Prunus × yedoensis), 한국의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 중국의 앵두나무속(Prunus serrulata)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품종 구분 없이 '벚꽃의 원산지'를 단정하려다 보면 일반인 사이에서 혼란이 생기기 쉽습니다.
왕벚나무는 한국이 원산지라는 연구가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간의 논쟁 중심에는 바로 왕벚나무가 있습니다. 일본에서 '소메이요시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이 품종은 19세기 후반 도쿄 소메이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교배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품종은 삽목으로 번식되며 유전적으로 매우 동일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자연종은 아니라고 하네요.
그러나 1908년, 프랑스 식물학자 에르네스트 르베이에(Ernest Leveille)가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벚나무를 발견하고 'Prunus yedoensis Matsumura'라는 학명을 부여하면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여러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이 제주 자생종이 일본 소메이요시노와 유사하다는 결과가 발표되었고, 나아가 제주도의 왕벚나무가 자연종이며 소메이요시노는 이 종을 기반으로 인위적으로 교배된 품종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습니다.
2007년 서울대학교 김찬수 교수 연구팀은 제주 왕벚나무가 자연 발생한 고유종이라는 점을 분자 유전학적으로 입증한 바 있습니다. 📚

그러나 학계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입니다 🔬
다만 식물학계에서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견지하고 있습니다.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확인된 개체 수가 매우 제한적이며, 품종의 기원을 완전히 밝히기 위해서는 수천 년에 걸친 식물의 이동과 자연 교잡 과정을 모두 추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본 측에서는 소메이요시노가 인공 품종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일본에서 교배되었고 현재 일본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자생 왕벚나무의 존재를 근거로 벚꽃의 원산지가 한국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최근에 한 교수님께서 이런 논란에 대해 칼럼을 하나 쓰셨네요. 읽어보시죠.
https://naver.me/FMcrDcbD
[문만용 교수, 한국 과학과 과학 한국] 왕벚나무 원산지 논쟁과 벚꽃놀이 - 광주드림
지난주 때아닌 눈이 내리기도 했지만 이제는 완연한 봄이 되었다. 전문 업체의 예보에 의하면 광주지역은 3월 26일경 벚꽃이 개화한다고 한다. 최근 몇 년간 벚꽃이 예상보다 일찍 피는 바람에
www.gjdream.com
결론적으로, 꽃은 국경을 모릅니다 🌍
벚꽃의 원산지를 둘러싼 논의는 단순한 식물학적 문제를 넘어, 민족 정체성과 문화적 상징성까지 아우르는 민감한 주제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벚꽃이라는 식물은 국경이나 인위적 경계가 아닌 자연의 순리에 따라 진화해 왔다는 점입니다.
벚꽃의 기원을 연구하는 작업은 학문적으로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매년 봄 벚꽃 아래에서 느끼는 감동과 아름다움은, 그것이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를 떠나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자연의 선물이 아닐까요? 🌸✨
잘 읽어보셨는지요? 결론적으로는 저나 저의 동료임원이나 모두 다 틀린 거였네요.
저는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일본 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한 방 맞았습니다. 제가 조사한 대로 한국의 꽃이냐 일본의 꽃이냐는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을지는 몰라도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그저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게 벚꽃은 매년 4월에 나타나는 설레는 존재로만 기억되어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아! 논쟁은 논쟁이고 4월 4일부터 여의도에서 봄꽃축제 합니다. 관련 정보 공유하오니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2025 여의도봄꽃축제
[맘가는대로#13] 여의도 봄꽃축제 오세요! 주차 노하우 알려드려요~
안녕하세요. MarkJacob 입니다.봄기운이 물씬 느껴지는 3월입니다. 봄이 오면 모두가 기다리는 것이 바로 벚꽃축제이고 벚꽃축제의 대표는 바로 여의도 벚꽃축제이지요! 최근에는 봄꽃축제로 이름
markjacob.tistory.com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저것#29] 🪙김치프리미엄부터 금테크 열풍까지, 금값진단 리포트.(SBS뉴스토리 509회) (8) | 2025.04.02 |
---|---|
[이것저것#28] 😁 만우절의 유래를 아세요? 기본 상식인데? (8) | 2025.04.01 |
[이것저것#27] ❓️고속도로 번호가 어떤 의미인지 아시나요? (12) | 2025.03.26 |
[이것저것#26] ‼️ 특별재난지역이란? (8) | 2025.03.24 |
[이것저것#26] 🌸 춘분(春分)의 뜻에 대해 잘 아시나요? 2025년 춘분은? 24절기 외우시는 분? (6)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