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칼럼공유#13] 中🇨🇳 엎친 데 인도🇮🇳,중동까지 덮치는 철강과 석유화학

by MarkJacob (MJ) 2025. 1. 27.

안녕하세요. MarkJacob 입니다. 우리나라 산업 중 조선업같이 호황인 곳도 있지만 암울한 전망을 가지고 있는 섹터도 있는데 바로 <철강과 석유화학> 입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칼럼을 정리해보고 관련종목 중 하나인 <POSCO>에 대해 분석해볼까 합니다.


이 칼럼은 중국이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에서 친환경 및 탈탄소 기술을 앞세워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인도와 중동이 이 분야에서의 새로운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중국🇨🇳의 독주와 글로벌 경쟁

중국은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석유화학 산업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환경 규제가 강화되며, 탈탄소 기술 도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도🇮🇳와 중동의 부상

인도는 글로벌 철강 생산 2위 국가로, 생산량의 70% 이상을 탄소배출량이 적은 전기로 생산하는 등 탈탄소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중동은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석유화학 산업을 확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응

국내 철강 및 석유화학 기업들은 하이렉스(HyREX)와 같은 친환경 기술을 도입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섰습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이 탈탄소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관련기업 중 하나인 포스코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포스코홀딩스 1년 주가

포스코(포스코홀딩스)의 주가 전망


포스코는 글로벌 철강 생산 6위 기업으로, 친환경 철강 생산과 전기로 전환, 탈탄소 기술 도입 등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1. 탈탄소 기술 도입

포스코는 친환경 기술인 **하이렉스(HyREX)**를 개발하여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ESG 트렌드와 맞물려 포스코의 가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2. 전기차 시장과의 연계

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 원료인 리튬과 니켈 사업을 확장하며,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수익성과 안정성

철강 가격의 안정화와 함께 포스코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글로벌 생산 상위 10개 기업 리스트에서 6위에 오르며, 시장 내 입지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근에 포스코의 주가 움직임은 그다지 좋지 않았으나, 앞으로 포스코는 친환경 기술 도입과 전기차 시장 확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주가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그러나 철강 산업 특유의 경기 민감성 및 원자재 가격 변동성은 주의가 필요합니다.